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3

2025 알바 고용계약서 양식 작성은 이렇게 | 주휴수당•고용보험 적용? 아르바이트 직원을 채용할 때 절대 빼놓으면 안 되는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근로계약서 작성인데요.  “잠깐 일할 건데 꼭 문서까지 써야 하나?” 하고 대충 넘기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이건 법적으로도 명확히 지켜야 하는 부분이에요.  근로기준법 제2조 1항 1호에 따르면 임금을 목적으로 일하는 사람은 모두 ‘근로자’로 본다고 돼 있어요.  즉, 아르바이트생도 법적으로 근로자에 해당되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게 되는 거지요.  그리고 제17조 조항을 보면, 임금, 근로시간, 휴일 등 핵심 근로조건은 반드시 서면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이걸 어기면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도 꼭 기억하셔야 하고요.  요즘은 알바하는 분들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서, 뭔가 이.. 2025. 3. 28.
2025 알바 근로계약서 양식, 어디서 받나요? (ft. 알바 근로계약서 서식) 아르바이트라고 해서 대충 넘어가면 안 되는 게 한 가지 있습니다. 바로 '근로계약서' 작성이죠.  "에이 알바인데 뭐 그런 거까지 써야 해?"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실텐데요.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1호를 보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는 모두 ‘근로자’로 본다고 되어 있어요.  즉, 돈 받고 일하는 사람은 다 근로자라는 얘기인데, 알바생도 여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당연히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  또한 근로기준법 제17조에서는, 임금, 근무시간, 휴일 같은 기본 근로조건은 서면으로 주고받아야 한다고 정해놨는데요.  이에 따라 알바 근로계약서를 쓰지않는다면, 고용주는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를 물게 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알바생들도 정보에 워낙 빠릿빠릿해.. 2025. 3. 27.
[과태료 8만원 주의] 어린이 통학버스 "동승자교육" | 교육주기 2년 어린이 통학버스를 운영하거나 직접 운전하시는 분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차량에 탑승해 보호 역할을 하시는 분들께서는  반드시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을 이수하셔야 하지요.  이 교육은 단순히 ‘받으면 좋은 교육’이 아니라, 법으로 정해진 의무교육이기 때문에 정해진 기간 내에 수강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운영자,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보호자도 해당 대상자에 포함되는데요.  교육 과정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업무를 처음 시작하시는 경우에는 ‘신규교육’을, 이미 종사 중이신 분들은 2년에 한 번씩 ‘정기교육’을 수강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교육을 받으셨다면, 그다음 교육은 2026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마치셔야 해요.  그럼, 어디서 신청하면 될까요?  많은 .. 2025. 3. 26.
[직무교육] 어린이 통학버스 운전자교육, 교통안전교육센터에서 신청하세요 어린이 통학버스를 이용해 아이들을 태우고 운행하는 분들, 차량을 직접 관리•운전하시는 분들, 그리고 함께 동승해서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동승보호자까지!  모두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미이수 과태료 8만원)단순히 권장되는 교육이 아니라 법령에 따라 반드시 들어야 하는 법정 교육이라는 점, 꼭 알고 계셔야겠지요.  교육은 상황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통학버스 업무를 새롭게 시작하시는 분들은 '신규 교육', 이미 기존에 운영이나 운전을 하고 계신 경우에는  2년마다 정기적으로 '정기 교육'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교육을 받으셨다면, 2026년 내로 다시 교육을 수료하셔야 하므로 일정 체크가 중요하겠습니다.  교육 신청은 교통안전교육센터 홈.. 202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