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 "주야간보호" 수가 | 노인장기요양 '단기보호' 수가표 (본인부담금)

by 한입정리 2024. 12. 23.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25년도 장기요양보험 수가가 발표되었습니다. 

올해와 마찬가지로 보험료율은 동결되었지만, 수가는 평균 3.93% 인상되었는데요.

 

추가로 요양보호사 배치기준도 강화되어 이제 입소자 2.3명당 1명이 아니라, 2.1명당 1명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한마디로 시설 입장에선 더 많은 요양보호사를 둬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가족 중에 요양원이나 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같은 걸 이용하고 있다면, 

 

올해랑 비교해서 한도액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이용금액 등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데요. 

본인부담금 역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파악하셔서 지출 계획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최신 장기요양보험 수가표🔻
(보건복지부 발표자료 다운로드)

[보건복지부] 2025년 노인장기요양기관별수가_발표_전문.pdf
0.39MB

 

 

2025 장기요양수가표 일부발췌

 

 

목차

     

    1. 2025년 주야간보호 수가표

    2025년도 주야간보호 서비스 수가를 알아보겠습니다.

     

    각 등급별로 본인부담금은  서비스를 얼마나 자주 받을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5년도 주야간보호서비스는 1등급 기준으로 한 달(30일 기준) 본인부담금은 대략 182,940원에서 360,270원 사이가 되겠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주야간보호 서비스의 한 달 본인부담금을 등급별로 한번 더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0일 기준)

    ✅ 1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최소 182,940원에서 최대 352,800원입니다.
    ✅ 2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최소 169,350원에서 최대 333,780원입니다.
    ✅ 3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최소 156,330원에서 최대 308,340원입니다.
    ✅ 4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최소 149,220원에서 최대 297,450원입니다.
    ✅ 5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최소 142,110원에서 최대 286,410원입니다.

     

     

    2. 2025년 유형별 장기요양수가표

    2025년부터 달라지는 그 외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기보호 수가표 2025

    단기보호서비스는 주로 어르신들이 일정 기간 동안 요양시설에 머무르며 필요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죠.

    보통 가족들이 일정 기간 동안 휴식이 필요하거나, 어르신이 일시적으로 돌봄이 필요할 때 이용됩니다. 

     

    단기보호 수가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요양급여수가는 "하루기준"으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기보호 서비스는 2025년도 수가를 보면 1등급의 경우 수가는 71,970원으로 1,470원이 증가했고, 본인부담금은 10,796원으로 221원이 올랐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단기보호" 서비스의 한 달(30일 기준) 본인부담금을 등급별로 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 1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10,796원 × 30일 = 323,880원입니다.
    • ✅ 2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9,996원 × 30일 = 299,880원입니다.
    • ✅ 3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9,234원 × 30일 = 277,020원입니다.
    • ✅ 4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8,991원 × 30일 = 269,730원입니다.
    • ✅ 5등급 대상자는 한 달 본인부담금이 8,745원 × 30일 = 262,350원입니다.

     

    노인요양시설 수가표 2025

    요양시설의 경우 2025년도 수가표를 보면,

     

    장기요양 1등급 기준으로 하루 비용이 84,240원에서 90,450원으로 올랐습니다.

     

    한 달 이용하면 총 급여비용은 271만 3,500원이 되고, 본인부담은 월54만 2,700원이 되는 셈입니다.

     

     

    우선 등급별로 살펴보면, 1등급은 본인 부담금이 1,242원 늘어나 18,090원이 되었고요.

     

    2등급도 비슷한 흐름으로 2025년 수가가 83,910원, 본인부담금은 16,782원으로 증가했네요.

     

    3~5등급은 2025년 수가가 79,240원, 본인부담금은 15,848원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다른 등급에 비해 상승 폭이 조금 더 적어 보입니다.

     

    공동생활가정 수가표 2025

    공동생활가정 수가는 2025년에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1등급은 수가 1,470원, 본인부담금 294원, 2등급은 수가 1,360원, 본인부담금 272원, 3~5등급은 수가 1,260원, 본인부담금 252원이 각각 올랐습니다.

     

    공동생활가정은 노인요양시설보다 본인부담금이 더 적고 수가 인상 폭도 작아 보입니다. 아마도 공동생활가정이 요양시설보다 운영비가 낮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방문요양 수가표 2025

    방문요양 서비스는 2025년에 수가와 본인부담금이 모두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30분 기준 수가16,940원으로 310원 증가했고, 본인부담금은 2,541원으로 46원 올랐습니다.

     

    60분은 수가가 24,580원으로 460원, 본인부담금은 3,687원으로 69원 상승했습니다. 240분 기준으로는 수가가 68,030원으로 1,260원, 본인부담금은 10,205원으로 189원 증가했습니다.

     

    방문목욕 수가표 2025

    방문목욕 서비스의 2025년도 수가를 보면 차량 이용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납니다.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차량 내)는 2025년 수가가 86,480원으로 가장 높고, 가정 내 차량 이용은 77,970원으로 다소 낮습니다.

     

    반면,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가가 48,690원으로 훨씬 낮은 수준입니다.

     

    방문간호 수가표 2025

    방문간호 서비스의 2025년도 수가표입니다.

     

     

    15~30분 미만은 수가가 41,710원으로 950원, 본인부담금이 6,257원으로 143원 올랐습니다.

     

    30~60분 미만은 수가가 52,310원으로 1,200원, 본인부담금이 7,847원으로 180원 증가했고 60분 이상은 수가가 62,930원으로 1,440원, 본인부담금이 9,440원으로 216원 올랐습니다.

     

     

    3. 2025년 재가급여 월한도액

    재가급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주로 방문요양센터, 방문목욕센터, 방문간호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단기보호센터 등이 있죠.

     

    2025년도 재가급여 월 한도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재가급여 월 한도액은 전년 대비 1등급 236,500원, 2등급 213,800원, 3등급 29,900원, 4등급 28,800원, 5등급 25,400원, 인지지원등급 13,700원이 각각 증가했습니다.

     

     

     

    4. 2025년도 장기요양 달라지는 점

    1️⃣ 재가서비스 확대

    - 중증 수급자 한도액 인상:

    • 1등급: 2,069,900원 → 2,306,400원
    • 2등급: 1,869,600원 → 2,083,400원

    - 가족휴가제 확대:

    • 단기보호 연 10일 → 11일
    • 종일방문요양 연 20회 → 22회

     

    2️⃣ 요양기관 서비스 개선

    - 주·야간보호센터: 휠체어 리프트 차량 지원, 조리원 추가 배치 시 비용 지원

     

    - 시설 서비스 강화:

    • 한국형 유니트케어 확대(54유니트): 기존 큰 다인실에서 벗어나, 어르신들이 가정처럼 생활 가능.
    • 전문요양실(50개소): 간호가 필요한 어르신에게 방문간호 수준의 간호 처치를 제공.

     

    지금까지 2025년 "주야간보호" 수가와 단기보호 수가표 등 본인부담금에 대한 금액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함께보면 좋은 글 🔽

     

     

    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과 신청자격 2가지(노인성질병의 종류와 질병코드)

    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신청자격 2가지는?(노인성질병의 종류와 질병코드) 노인인구가 많이 늘어나면서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일상생활이 힘든 어르신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emarryeight.tistory.com

     

    복지용구 급여확인서 발급방법은?(불필요 항목은 추가급여 신청하세요!)

    복지용구 급여확인서 발급방법복지용구 추가급여 신청방법복지용구를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서류가 바로 '복지용구 급여확인서'입니다. 복지용구를 대여하거나 구매할

    emarryeight.tistory.com

     

     

     

    2025 주야간보호 수가

     

    반응형